티스토리 뷰
2023년 청년도약계좌 가입방법 및 가입조건
아메리칸 2023. 10. 10. 18:07
2022년에 청년희망적금으로 시작한 가입자들이 2023년 청년도약계좌로 전환에 대한 고민을 하고 계실 것입니다. 그러나 걱정하지 마세요. 이번 시간에는 중도해지 손해와 청년도약계좌의 운용 계획을 자세히 살펴보고, 안심하고 전환할 수 있는 이유를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 일자
2023년 6월에 출시된 청년도약계좌는 매월 신청 기간을 열어두고 있습니다. 따라서 서두르지 않아도 됩니다.
청년희망적금 종료일
청년희망적금은 2024년 2월부터 3월에 만기됩니다. 만기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전환 시에 손해 없이 진행 가능합니다.
중도해지 시 손해
중도해지 시에는 일정한 손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원금 1,200만 원과 15.4% 세금을 제외하고 30만 원에서 40만 원을 수령하게 됩니다.
중도해지 시 미수령 혜택
중도해지 시에는 몇 가지 혜택을 받을 수 없게 됩니다. 이에는 기본금리 5% 미적용, 15.4% 비과세 혜택 미수령, 저축 장려금 최대 36만 원 미지급, 은행별 최대 0.5~1% 우대금리 미적용이 포함됩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 신청 일정
2023년 7월부터 2024년 4월까지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할 수 있으며, 정보는 매월 말 또는 초에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입방법 및 절차
청년도약계좌 가입은 매달 은행 영업일 기준 첫 2주간 가입 신청이 가능하며, 심사 후 은행에서 승인 여부를 통보하고 계좌를 개설하고 납부하게 됩니다.
결론
희망적금 가입자들은 걱정하지 마세요. 서두르지 않고 청년도약계좌로 전환하셔도 손해가 없다는 결론입니다. 안전하게 투자하고 미래를 준비하세요.
2023년 청년도약계좌 vs 청년희망적금 비교
청년도약계좌
- 가입대상: 만 19~34세 청년 (병역 이행기간 제외)
- 소득요건: 개인소득 6,000만원 이하, 중위소득 180% 이하
- 투자형태: 적금형 또는 투자형 선택
- 납입금액: 월 최대 40만~70만원
- 정부지원금: 3~6% (월 지급), 만기 5년
청년희망적금
- 가입대상: 만 19~34세 청년 (병역 이행기간 제외)
- 소득요건: 개인소득 3,600만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 2,600만원 이하
- 투자형태: 적금
- 납입금액: 월 최대 50만원
- 정부지원금: 1년차 2%, 2년차 4% (만기 지급), 만기 2년
청년도약계좌 은행별 금리비교
- 대부분의 은행에서 기본금리는 동일하며, 우대금리가 다릅니다.
- NH농협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KB국민은행 등에서 우대금리 제공
- 우대금리를 받기 위한 조건은 은행마다 다름
청년도약계좌 장점
- 비과세혜택: 이자에 대한 세금을 받지 않음
- 목돈 만들기: 5년 동안 목돈을 쌓을 수 있음
청년도약계좌 가입방법 및 가입조건
- 가입조건: 만 19~34세 청년, 개인소득 7,500만원 이하, 가구소득 중위소득 180% 이하
- 가입방법: 취급은행을 선택하고 방문하여 가입 신청, 소득확인 절차 진행
- 유의사항: 1인당 1개의 계좌만 가입 가능, 현재 청년희망적금 가입 중인 경우 가입 불가능, 소득 기준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비과세 혜택 불가능
청년도약계좌 vs 청년희망적금
청년도약계좌 |
청년희망적금 |
|
가입대상 |
만 19~34세 청년(병역이행기간 제외) |
만19 ~ 34세 청년(병역이행기간 제외) |
소득요건 |
개인소득 6000만원 이하 , 중위소득 180%이하 |
개인소득 3600만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 2600만원 이하 |
투자형태 |
적금형, 투자형 중 선택 |
적금 |
납입금액 |
월 최대 40만 ~ 70만원 |
월 최대 50만원 |
정부지원금 |
3~6%(월 지급) |
1년차 2%, 2년 4%(만기지급) |
만기 |
5년 |
2년 |
중위소득 및 납입한도
2023년 기준 |
중위소득 100% |
중위소득 180% |
1인 |
207.8만원 |
3,740,206만원 |
2인 |
345.6만원 |
6,221,079만원 |
3인 |
443.5만원 |
7,982,669만원 |
4인 |
540.1만원 |
9,721,735만원 |
5인 |
633.1만원 |
11,395,238만원 |
6인 |
722.8만원 |
13,010,366만원 |
소득구분 |
월 납입한도 |
기여금 매칭 비율 |
기여금 지급한도 |
월 최대 지급 기여금 |
연소득 2,400만원↓ |
70만원 |
6.0% |
40만원 |
2.4만원 |
연소득 3,600만원↓ |
70만원 |
4.6% |
50만원 |
2.3만원 |
연소득 4,800만원↓ |
70만원 |
3.7% |
60만원 |
2.2만원 |
연소득 6,000만원↓ |
70만원 |
3.0% |
70만원 |
2.1만원 |
연소득 7,500만원↓ |
70만원 |
- |
- |
- |
2023년 청년도약계좌에 관한 중요 정보를 모두 정리해보았습니다. 미래를 위한 투자 결정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