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어르신 교통 카드 서울, 대구, 대전의 혜택과 발급 방법 바로 확인하기
아메리칸 2024. 7. 28. 12:03
서울시와 대구, 대전 등 다양한 지역에서 제공하는 '어르신 교통 카드 '는 고령자들에게 큰 도움을 주는 중요한 복지 혜택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서울시를 포함한 여러 지역의 어르신 교통 카드 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서울시 어르신 교통 카드
서울시 어르신 무임교통카드란?
서울시 어르신 무임교통카드 는 서울시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의 어르신들에게 제공되는 교통카드 로, 수도권 지하철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혜택을 제공합니다. 이 카드는 '어르신 교통 카드 ', '우대용 교통 카드', '서울시 시니어 패스 카드'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립니다.
서울시 어르신 무임교통카드 는 크게 단순 무임카드와 신용카드형, 체크카드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카드 종류 |
용도 |
발급처 |
발급 가능 시점 |
단순 무임카드 |
오로지 교통카드 기능 |
서울 시내 주민센터 |
생일 두 달 전부터 발급 가능 |
신용카드형 |
무임 교통카드 + 신용카드 |
서울 시내 신한은행 |
만 65세 생일 이후 |
체크카드형 |
무임 교통카드 + 체크카드 |
서울 시내 신한은행 |
만 65세 생일 이후 |
발급 방법 및 비용
- 단순 무임카드 는 서울 시내 주민센터에서 신분증을 지참하고 방문하여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발급 시점은 생일 두 달 전부터 가능하며, 사용은 생일 당일부터 가능합니다.
- 신용카드형 과 체크카드형 은 서울 시내 신한은행 에서 신분증을 지참하고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신용카드는 후불 결제, 체크카드는 충전 후 사용 가능합니다.
발급 비용은 최초 발급 시 무료이며, 분실 또는 훼손 시 재발급 비용은 3,000원이 부과됩니다.
카드 사용 및 제한 사항
- 지하철 : 1~9호선, 경의중앙선, 경춘선, 수인분당선, 우이신설선, 인천 1호선, 인천 2호선에서 무료 이용 가능합니다.
- 버스 : 버스에서는 무임 승차가 불가능하며, 카드 충전이 필요합니다.
- 공항철도 : 공항철도는 무임 이용이 불가합니다.
- 환승 : 지하철에서 버스로 환승할 경우 30분 이내에 무료 환승이 가능합니다.
자치구별 교통비 지원 혜택
서울시 25개 자치구에서는 별도로 교통비 지원 정책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중구에서는 월 3만 원 교통비를 지원하고 강남구에서는 버스 교통비 지원 사업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서울시 자치구 홈페이지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대구광역시 어르신 교통카드
대구광역시는 75세 이상의 어르신들에게 무임 교통카드 를 발급합니다. 이 카드는 시내버스와 도시철도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혜택을 제공합니다.
발급 방법 및 카드 종류
- 발급 방법 : 대구광역시 주소를 둔 어르신은 주소지 관할 읍, 면, 동 행정복지센터를 방문하여 신청하거나, '어르신 통합 무임 교통카드 앱'을 통해 모바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 발급 카드 : 실물 카드와 모바일 카드 중 선택 가능하며, 두 가지 카드를 모두 발급받을 수는 없습니다.
발급 시 주의사항
- 실물카드 분실 시 3,000원의 재발급 수수료가 부과됩니다.
- 타 지역으로 전출 시 또는 사망 시 사용이 자동으로 중지됩니다.
대전광역시 어르신 교통카드
대전광역시에서는 만 70세 이상의 어르신에게 무임 교통카드 를 발급합니다. 이 카드는 시내버스, 마을버스, 간선급행버스(B1), 도시철도에서 무료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발급 방법 및 카드 종류
- 발급 방법 : 모바일 신청 또는 가까운 하나은행 방문을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발급 후 자택으로 우편 수령이 이루어지며, 신청 일로부터 10일 이상 소요될 수 있습니다.
- 카드 종류 : 후불 체크카드와 선불 체크카드가 있으며, 후불 체크카드는 사용 후 이용대금 청구가 취소됩니다. 선불 체크카드는 충전 후 사용 가능합니다.
주의사항
- 제2금융권 통장(우체국, 신협, 수협, 새마을금고 등)은 신청이 불가능합니다.
- 카드 사용 시 하차 태그를 반드시 해야 합니다.
어르신 교통 카드 는 많은 지역에서 고령자들에게 교통비 부담을 줄여주는 중요한 복지 혜택입니다. 서울시, 대구광역시, 대전광역시의 어르신 교통카드 발급 방법과 혜택을 잘 이해하고, 자신에게 맞는 카드를 선택하여 편리하게 대중교통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다양한 복지 정책을 통해 보다 알뜰하고 편리한 생활을 누리시기 바랍니다.
서울시 어르신 교통 카드 정보
카드 종류 |
용도 |
발급처 |
발급 가능 시점 |
단순 무임카드 |
오로지 교통카드 기능 |
서울 시내 주민센터 |
생일 두 달 전부터 발급 가능 |
신용카드형 |
무임 교통카드 + 신용카드 |
서울 시내 신한은행 |
만 65세 생일 이후 |
체크카드형 |
무임 교통카드 + 체크카드 |
서울 시내 신한은행 |
만 65세 생일 이후 |
서울시 어르신 교통 카드 발급 및 비용
항목 |
내용 |
발급 방법 |
단순 무임카드: 주민센터 방문 (신분증 지참) 신용카드형, 체크카드형: 신한은행 방문 (신분증 지참) |
발급 비용 |
최초 발급: 무료 재발급: 3,000원 (분실 또는 훼손 시) |
서울시 어르신 교통 카드 사용 가능 및 제한
항목 |
내용 |
지하철 노선 |
1~9호선, 경의중앙선, 경춘선, 수인분당선, 우이신설선, 인천 1호선, 인천 2호선 |
버스 |
무임 승차 불가 (충전 필요) |
공항철도 |
무임 이용 불가 |
지하철 → 버스 환승 |
30분 이내 환승 가능 |
대구광역시 어르신 교통 카드 정보
항목 |
내용 |
대상 |
75세 이상 어르신 |
카드 혜택 |
시내버스, 도시철도 무료 이용 |
발급 방법 |
읍, 면, 동 행정복지센터 방문모바일 앱 : 어르신 통합 무임 교통카드 앱 |
카드 종류 |
실물 카드, 모바일 카드 중 선택 가능 |
대전광역시 어르신 교통 카드 정보
항목 |
내용 |
대상 |
만 70세 이상 어르신 |
카드 혜택 |
시내버스, 마을버스, 간선급행버스(B1), 도시철도 무료 이용 |
카드 종류 |
후불 체크카드, 선불 체크카드 |
발급 방법 |
모바일 신청하나은행 방문 |
수령 방법 |
자택 우편 수령 (신청 일로부터 10일 이상 소요될 수 있음) |
앱